📖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70건

서열척도

서열척도 (Ordinal Scale)는 측정 대상의 속성을 크기 또는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척도이다. 명명척도와 달리 측정값 간의 순위 관계를 나타낼 수 있지만, 순위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는 보장은 없다. 즉, '1등이 2등보다 얼마나 더 잘하는지' 또는 '2등과 3등의 실력 차이가 1등과 2등의 실력 차이와 같은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특징

  • 순서 정보 제공: 측정 대상을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다.
  • 간격의 불균등: 순위 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 절대 영점 부재: 절대적인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시

  • 선호도 조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과 같은 응답은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지만, 각 응답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 대학교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은 순서대로 배열되지만, 각 학년 간의 학업 능력 차이가 일정하다고 보기 어렵다.
  • 리커트 척도: 설문 조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또는 7점 척도는 서열척도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통계 분석

서열척도로 측정된 자료는 순위 통계 또는 비모수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일반적인 평균이나 표준편차와 같은 모수 통계는 적합하지 않다. 대표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중앙값, 최빈값, 백분위수, 순위 상관 분석 등이 있다.

한계

서열척도는 측정값 간의 정확한 간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더 정교한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만약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로 측정할 수 있다면, 보다 다양한 통계 분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