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2,236건

서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는 서울특별시의 서남부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간선도로이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서 시작하여 영등포구, 양천구, 마포구를 거쳐 은평구 신사동까지 이어진다. 총 길이는 약 21.3km이며, 서울 서남부 지역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지역 간 연계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징

  • 지하화 사업: 극심한 교통 체증 해소 및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일부 구간(가산동 - 신월동)에 지하화 사업이 진행되어 2021년 9월 개통되었다. 지하화 구간은 통행료를 징수하며, 지상 구간은 기존처럼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 주요 연결 도로: 경인고속도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서부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높인다.
  • 혼잡 구간: 출퇴근 시간대에는 여전히 극심한 교통 혼잡을 겪는 구간이 존재한다. 특히 성산대교 남단 및 가양대교 방면으로의 진출입 구간은 정체가 잦은 편이다.
  • 시설물: 서부간선도로에는 다양한 형태의 교량, 지하차도, 고가차도 등의 시설물이 존재한다.

역사

  • 1990년대 초반 건설되어 서울 서남부 지역의 교통망 확충에 기여했다.
  • 지속적인 교통량 증가로 인해 상습적인 정체가 발생하여 지하화 사업이 추진되었다.

논란 및 문제점

  • 지하화 이후 통행료 징수에 대한 논란이 있다. 무료로 이용하던 도로가 유료화되면서 시민들의 부담이 증가했다는 지적이 있다.
  • 지하화 구간 개통 이후에도 지상 구간의 교통 정체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향후 전망

  • 향후 서부간선도로와 연결되는 다른 도로망 확충 계획에 따라 교통 흐름 개선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