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
부종(浮腫, Edema)은 체내 조직액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발생하는 붓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신적인 문제 또는 특정 부위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원인과 기전을 통해 나타납니다.
원인
부종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정수압 증가: 모세혈관 내의 압력이 높아져 혈관에서 조직액으로의 유출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심부전, 신부전, 정맥 폐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삼투압 감소: 혈장 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농도가 감소하여 혈관 내 삼투압이 낮아지는 경우입니다. 신증후군, 간경변, 영양실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염증 반응, 알레르기 반응, 외상 등으로 인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장 성분이 조직으로 쉽게 빠져나가는 경우입니다.
- 림프 배액 장애: 림프관이 막히거나 손상되어 조직액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림프절 절제술, 암,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호르몬 불균형: 특정 호르몬의 변화는 체액 조절에 영향을 미쳐 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월경, 임신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약물: 일부 약물은 부종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증상
부종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부 함몰: 부종 부위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일시적으로 피부가 움푹 들어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체중 증가: 체내 수분 축적으로 인해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피부 긴장: 부종 부위의 피부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불편감 및 통증: 부종 부위의 불편감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폐부종의 경우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진단
부종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신체 검진: 의사는 부종의 위치, 정도, 특징 등을 평가합니다.
- 혈액 검사: 신장 기능, 간 기능, 알부민 수치 등을 확인합니다.
- 소변 검사: 단백뇨 유무를 확인합니다.
- 영상 검사: 흉부 X선, 심장 초음파 등을 통해 심장 및 폐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치료
부종의 치료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부종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식이 조절: 염분 섭취를 줄이고, 적절한 수분 섭취를 유지합니다.
- 약물 치료: 이뇨제를 사용하여 체내 수분을 배출합니다.
- 자세 조절: 다리를 높이 올려 부종 부위의 혈액 순환을 돕습니다.
- 압박 스타킹: 다리 부종의 경우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여 정맥 순환을 개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