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병원체

병원체 (病原體, pathogen)는 숙주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생물학적 존재를 의미한다.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생생물, 기생충, 프리온 등이 이에 해당하며, 감염을 통해 숙주 내에서 증식하거나 독성 물질을 생성하여 숙주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고 손상을 유발한다.

분류 및 특징

  • 바이러스: 핵산(DNA 또는 RNA)과 단백질 껍질로 구성된 매우 작은 감염성 입자이다.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복제 가능하며, 숙주 세포를 파괴하거나 변형시켜 질병을 유발한다. 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IV.

  • 세균: 단세포 원핵생물로, 세포벽, 세포막, 세포질, 핵양체(nucleoid) 등으로 구성된다. 독소를 생성하거나 숙주 조직을 직접 침범하여 질병을 일으킨다. 예: 대장균, 살모넬라균.

  • 곰팡이: 진핵생물에 속하며, 단세포성(예: 효모) 또는 다세포성(예: 곰팡이) 형태로 존재한다. 포자를 통해 번식하며, 피부, 폐, 혈액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예: 무좀균, 칸디다.

  • 원생생물: 단세포 진핵생물로,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일부는 숙주 내에서 기생하며, 소화기, 혈액, 조직 등에 감염을 일으킨다. 예: 말라리아 원충, 아메바.

  • 기생충: 다른 생물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생물로, 숙주로부터 영양분을 얻고 숙주에게 해를 끼친다. 내부 기생충(예: 회충)과 외부 기생충(예: 진드기)으로 나눌 수 있다.

  • 프리온: 단백질로만 구성된 감염성 입자로, 정상적인 단백질을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형시켜 신경 세포를 손상시킨다. 광우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등이 프리온 질환에 해당한다.

감염 경로

병원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숙주에 침투할 수 있다. 주요 감염 경로는 다음과 같다.

  • 공기 전파: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병원체가 호흡기를 통해 감염을 일으킨다.

  • 접촉 전파: 직접적인 접촉(예: 피부 접촉, 성 접촉) 또는 간접적인 접촉(예: 오염된 물건 접촉)을 통해 병원체가 전파된다.

  • 음식 및 물 전파: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여 병원체가 소화기관을 통해 감염을 일으킨다.

  • 매개체 전파: 모기, 진드기 등과 같은 매개 생물을 통해 병원체가 전파된다.

  • 혈액 전파: 수혈, 주사기 공유 등을 통해 혈액을 통해 병원체가 전파된다.

예방 및 치료

병원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백신 접종, 안전한 음식 섭취, 매개체 방제 등이 중요하다. 감염된 경우에는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병원체를 제거하거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