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민속악

민속악(民俗樂)은 전문적인 음악가가 아닌 일반 민중 사이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고 전승되어 온 음악의 총칭이다. 궁중음악이나 양반 계층의 풍류 음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민중의 삶과 정서를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특징

  • 구전심수: 악보에 의존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승되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연주자나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 즉흥성: 정해진 틀 안에서 연주자의 재량과 감흥에 따라 즉흥적인 변주가 가능하다.
  • 반복과 첨가: 가사나 선율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황에 따라 새로운 가사를 덧붙이거나 변형하기도 한다.
  • 일상과의 밀접한 관련: 노동요, 의례요, 놀이요 등 다양한 형태로 민중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다양한 지역색: 각 지역의 문화와 풍습을 반영하여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나타낸다.

분류

민속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농악: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연주되는 음악으로, 풍물놀이라고도 한다.
  • 민요: 민중들 사이에서 불려지는 노래로, 노동요, 향토민요, 통속민요 등이 있다.
  • 판소리: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의 장단에 맞춰 이야기를 노래하는 극음악이다.
  • 산조: 기악 독주곡으로, 가야금 산조, 거문고 산조, 대금 산조 등이 있다.
  • 무악: 굿을 할 때 연주되는 음악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의의

민속악은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반영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민중의 애환과 희망을 담아내고 있으며, 한국 음악의 중요한 뿌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현대 음악에 영감을 주어 새로운 창작 활동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