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무지개는 대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태양광이 굴절, 반사, 분산되어 나타나는 광학 현상이다. 햇빛이 물방울에 입사하면 굴절되면서 여러 파장의 빛으로 분리되고, 물방울의 뒷면에서 반사된 후 다시 굴절되어 관측자에게 도달한다. 이때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빛이 스펙트럼으로 분리되어 나타나며, 빨주노초파남보 순서로 배열된 아치형의 띠를 형성한다.
종류
-
일차 무지개: 가장 흔하게 관측되는 무지개로, 빨간색이 바깥쪽, 보라색이 안쪽에 위치한다. 물방울 내부에서 한 번의 반사를 거친다.
-
이차 무지개: 일차 무지개보다 희미하고, 일차 무지개 바깥쪽에 나타난다. 빨간색이 안쪽, 보라색이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방울 내부에서 두 번의 반사를 거친다. 색깔 순서가 일차 무지개와 반대이다.
-
무지개다리: 민속 신앙에서 무지개를 신성시 여겨 부르는 명칭. 실제 과학적 현상과는 구분된다.
-
월무지개 (Moonbow): 달빛에 의해 생성되는 무지개. 햇빛에 비해 빛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희미하게 나타나며, 주로 밤에 관측된다.
생성 조건
무지개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태양(혹은 달), 물방울, 그리고 관측자 세 가지 요소가 특정한 각도를 이루어야 한다. 햇빛이 비오는 상황이나 안개가 낀 상황에서 관측하기 용이하다. 태양이 관측자의 등 뒤에 있고, 물방울이 앞쪽에 있어야 한다.
문화적 의미
무지개는 다양한 문화에서 신화, 전설, 예술 등에 등장하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평화, 희망, 행운, 약속 등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관련 용어
- 굴절: 빛이 매질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진행 방향이 바뀌는 현상.
- 반사: 빛이 매질의 경계면에서 되돌아 나오는 현상.
- 분산: 빛이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져 여러 색깔로 분리되는 현상.
- 스펙트럼: 빛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나타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