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946건

몽골인민혁명당

몽골인민혁명당(몽골어: Монгол Ардын Хувьсгалт Нам, Mongol Ardyn Khuvsgalt Nam, 약칭: МАХН)은 몽골의 정당이다. 1921년 설립되어 1924년부터 1990년까지 몽골 인민 공화국의 유일한 집권당이었으며, 이후 다당제 민주주의 체제에서도 주요 정당으로 활동했다.

역사

몽골인민혁명당은 1921년 3월 1일, 몽골의 독립과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다친 후레(현재의 울란바토르)에서 설립되었다. 담딘 수흐바타르(Дамдины Сүхбаатар) 등 주요 혁명가들이 당 창립에 참여했으며, 소련의 지원을 받아 1921년 몽골 혁명을 성공시키고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1924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몽골인민혁명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채택하고 소련의 위성국가로서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이 시기 당은 사회주의 경제 체제 도입, 문맹 퇴치, 근대화 등을 추진했으나, 정치적 숙청과 개인 숭배(허를러깅 처이발상 시기)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1990년 동유럽 사회주의권의 변화와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의 영향으로 몽골에도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몽골인민혁명당은 평화적으로 일당 독재 체제를 포기하고 다당제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수용했다. 이후 당은 사회민주주의 노선으로 전환하며 선거를 통해 여러 차례 집권하거나 제1야당의 지위를 유지했다.

2010년, 몽골인민혁명당은 당명을 몽골인민당(Монгол Ардын Нам, MAN)으로 변경하며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명확히 했다. 그러나 남바링 엥흐바야르(Намбарын Энхбаяр) 등 일부 당원들이 이에 반발하여 몽골인민혁명당이라는 명칭으로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이념

몽골인민혁명당의 이념은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창당 초기에는 민족주의와 혁명주의적 성격이 강했으나, 몽골 인민 공화국 시기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엄격하게 따랐다. 1990년 민주화 이후 당명을 몽골인민당으로 변경한 주류 세력은 사회민주주의와 중도좌파 노선을 추구하고 있다. 반면, 2010년 분당하여 '몽골인민혁명당'이라는 이름을 유지한 정당은 보다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는 중도 성향을 보인다.

역할

몽골인민혁명당(현재의 몽골인민당 MAN 포함)은 몽골 근현대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당이다. 몽골의 독립, 사회주의 국가 건설, 민주주의 이행 과정 전반에 걸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 몽골의 집권 여당은 2010년 당명을 변경한 몽골인민당(MAN)이며, '몽골인민혁명당'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또 다른 정당은 소수 야당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