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780건

모암

모암(母岩)은 지질학에서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과 같은 다양한 암석이 형성되는 근원이 되는 원재료 암석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모암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퇴적암: 퇴적암의 경우, 모암은 풍화 및 침식 작용을 거쳐 운반된 암석 조각(쇄설물)이나 화학적 침전물, 또는 유기물의 집적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화성암, 변성암, 심지어 다른 퇴적암까지도 퇴적암의 모암이 될 수 있다. 모암의 종류에 따라 퇴적암의 성분, 입자 크기, 구성 광물 등이 달라진다.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아 조직이나 광물 조성이 변성되어 형성된다. 이때 변성되기 전의 암석을 모암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사암이 변성되면 규암이 되고, 셰일이 변성되면 점판암이나 편암이 될 수 있으며, 석회암이 변성되면 대리암이 된다. 모암의 종류와 변성 조건에 따라 변성암의 종류와 특징이 결정된다.

  • 화성암: 화성암은 마그마 또는 용암이 냉각되어 굳어져 형성된 암석이다. 화성암의 모암은 마그마가 생성되기 전의 맨틀이나 지각의 암석을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화성암의 경우, 모암보다는 마그마의 성분 및 냉각 속도 등이 암석의 종류와 특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화성암은 기존의 화성암이 다시 녹아 마그마가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모암을 연구하는 것은 특정 암석의 기원과 생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퇴적암과 변성암의 경우, 모암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과거의 지질 환경과 지각 변동 과정을 추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