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16건

위장관

위장관(胃腸管)은 입에서 항문까지 이어지는 긴 관으로, 음식물의 소화, 흡수, 배설을 담당하는 기관계이다. 소화기관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며, 음식물이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구성:

위장관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관으로 구성된다.

  • 구강(입): 음식물을 섭취하고, 저작 작용을 통해 잘게 부수며, 침과 섞어 소화를 시작하는 곳이다.
  • 인두(목): 음식물이 식도로 넘어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식도: 구강에서 위로 음식물을 운반하는 관이다. 연동 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이동시킨다.
  • 위: 음식물을 저장하고, 위액과 혼합하여 소화를 진행하는 곳이다. 강력한 산성 환경을 유지하며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펩신을 분비한다.
  • 소장: 소화와 흡수의 주요 장소이다.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나뉘며, 췌장액과 담즙의 도움을 받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고 영양소를 흡수한다.
  • 대장: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수분과 전해질을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를 저장하여 대변을 형성하는 곳이다. 맹장, 결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 직장으로 나뉜다.
  • 직장: 대변을 저장하는 곳으로, 항문으로 연결된다.
  • 항문: 대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곳이다.

기능:

위장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소화: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소화 효소를 이용하여 영양소를 분해한다.
  • 흡수: 분해된 영양소, 수분, 전해질 등을 혈액으로 흡수한다.
  • 배설: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와 노폐물을 대변으로 배출한다.
  • 내분비 기능: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소화 과정을 조절한다. (예: 가스트린, 세크레틴 등)
  • 면역 기능: 장내 미생물과 상호작용하며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킨다.

관련 질환:

위장관은 다양한 질환에 취약하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대장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