멥쌀
멥쌀은 멥쌀벼에서 생산되는 쌀로서, 찰기가 적고, 주로 밥을 짓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쌀의 종류이다. 멥쌀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아 밥을 지었을 때 찰기가 덜하고, 낱알이 분리되는 특징을 가진다. 찹쌀에 비해 소화가 잘 되는 편이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특징
- 아밀로오스 함량: 멥쌀은 찹쌀에 비해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다. 아밀로오스는 쌀의 주된 구성 성분 중 하나로, 쌀의 찰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멥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보통 17~23% 정도이다.
- 용도: 주식인 밥을 짓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며, 떡, 죽, 과자, 술 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도 활용된다.
- 영양 성분: 탄수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 품종: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멥쌀 품종이 있으며, 품종에 따라 밥맛, 찰기, 향 등이 조금씩 다르다.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추청, 고시히카리, 삼광 등이 있다.
관련 용어
- 찹쌀: 멥쌀과 달리 아밀로오스 함량이 매우 낮아 찰기가 강한 쌀이다. 주로 찰밥, 떡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쌀눈: 쌀의 배아 부분을 말하며, 영양가가 높다.
- 도정: 벼에서 왕겨, 쌀겨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