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
먼지는 공기 중에 떠다니거나 표면에 쌓이는 매우 작은 고체 입자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입자는 다양한 물질에서 기원하며, 크기, 구성, 발생원인에 따라 그 종류와 성질이 매우 다양하다.
정의 및 분류:
먼지는 일반적으로 500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의 크기를 가진 입자를 지칭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더 작은 입자까지 포함한다. 먼지는 그 발생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자연 발생 먼지: 토양, 화산재, 꽃가루, 바닷물에서 날아온 소금 입자, 우주 먼지 등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이다.
- 인위적 발생 먼지: 산업 활동(광업, 건설, 제조 등), 농업 활동(경작, 살포 등), 교통(자동차 배기가스, 타이어 마모 등), 난방(화석 연료 연소), 소각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이다.
구성 성분:
먼지의 구성 성분은 발생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인 먼지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무기물: 토양 입자, 금속 입자, 광물 입자 등
- 유기물: 식물 파편, 동물 비듬, 곰팡이 포자, 섬유 조각 등
- 탄소 성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그을음, 유기물 분해 산물 등
-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
영향:
먼지는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건강: 호흡기 질환(천식, 기관지염, 폐렴 등) 악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알레르기 반응 유발 등
- 환경: 대기 오염, 시야 감소, 산성비 유발, 기후 변화 영향 등
- 산업: 정밀 기기 고장, 제품 품질 저하, 생산 효율 감소 등
제거 및 관리:
먼지를 제거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 청소: 진공청소기, 물걸레, 공기청정기 등을 사용하여 실내 먼지를 제거한다.
- 산업 시설: 집진 시설 설치, 작업 환경 개선 등을 통해 먼지 발생을 줄인다.
- 정책: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산업 시설 배출 기준 강화 등 먼지 발생을 억제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참고 문헌:
- 대기환경보전법
- 산업안전보건법
- 환경부 대기질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