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표
마침표 (句點, full stop, period)는 문장 부호의 하나로,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기호이다. 한국어 문장 부호 체계에서는 온점(.)과 고리점(。) 두 가지 형태를 모두 마침표로 규정하고 있다.
기능 및 용법
- 문장 종결: 평서문, 감탄문, 명령문 등 완결된 문장의 끝에 찍어 문장의 종결을 나타낸다.
- 예시: 오늘은 날씨가 좋다.
- 약어 표시: 단어의 일부를 줄여 쓴 약어 뒤에 붙여 약어임을 나타낸다.
- 예시: 주식회사 → (주).
- 생략 부호: 내용의 생략을 나타내는 생략 부호(...) 대신 마침표 세 개를 나란히 쓰기도 한다. (다만, 생략 부호가 표준임)
- 숫자 표기: 숫자를 나열할 때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예시: 1. 서론, 2. 본론, 3. 결론
주의사항
- 의문문에는 물음표(?), 감탄문에는 느낌표(!)를 사용하므로 마침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괄호 안에 들어간 문장이 완결된 문장인 경우 괄호 안에 마침표를 찍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괄호 밖에 마침표를 찍는다.
기타
- 영문법에서는 period라고 부른다.
- 국가 및 언어에 따라 마침표의 모양이나 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