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치 죄르지
루카치 죄르지(헝가리어: Lukács György, 1885년 4월 13일 – 1971년 6월 4일)는 헝가리의 철학자, 문학 비평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다. 그는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히며, 특히 그의 저서 《역사와 계급 의식》은 비판 이론 및 다양한 마르크스주의 사조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소외, 물화(사물화, 독일어: Verdinglichung) 등의 개념 분석으로 유명하며, 마르크스주의 미학과 문학 이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생애 루카치는 1885년 부다페스트의 유복한 유대계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다페스트 대학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베를린과 하이델베르크에서 게오르그 짐멜, 막스 베버 등 당대 독일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철학, 문학, 사회학을 깊이 연구했다. 이 시기에 그는 초기 작품인 《소설의 이론》 (Die Theorie des Romans, 1916)을 집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8년에 헝가리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19년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수립 당시 교육인민위원으로 활동했다. 공화국이 몰락한 후 오스트리아 빈으로 망명했으며, 이곳에서 그의 가장 중요한 저서인 《역사와 계급 의식》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1923)을 출간했다. 이 책은 출간 당시 코민테른 내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후 독일 베를린을 거쳐 소련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철학 연구 및 문학 비평 활동을 이어갔다. 스탈린주의 시대에 그는 정치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겪기도 했으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서 명성을 유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45년에 헝가리로 돌아와 부다페스트 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임레 너지 정부에서 잠시 문화부 장관으로 활동했으나, 혁명이 진압된 후 잠시 억류되었다가 풀려났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저술 활동에 매진하며 《이성의 파괴》(Die Zerstörung der Vernunft, 1954), 후기 대작인 《미학 특성론》(Ästhetik), 《사회적 존재의 온톨로지》(Zur Ontologie des gesellschaftlichen Seins) 등을 집필했다. 1971년 부다페스트에서 사망했다.
사상 루카치의 사상은 초기 헤겔주의적 마르크스주의부터 후기 사회적 존재론에 이르기까지 여러 변화를 겪었다. 초기 사상은 특히 《역사와 계급 의식》에 집약되어 있으며, 여기서 그는 마르크스주의를 단순한 경제 결정론이 아닌 변증법적 총체성(Totality)의 철학으로 해석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 관계가 마치 사물처럼 대상화되는 현상인 물화(사물화) 개념을 깊이 분석했으며,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 의식이 이러한 물화를 극복하고 사회적 총체성을 회복하는 주체적 힘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 책은 정통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읽히며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출발점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문학 비평은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는다. 그는 문학 작품이 단순히 현실을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현실의 본질과 총체성을 '전형'(Type)이라는 개념을 통해 예술적으로 재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리얼리즘 문학을 옹호하며 모더니즘 문학의 형식주의와 현실 도피를 비판하는 논쟁에 참여했다.
후기에는 사회적 존재의 객관적 토대를 탐구하는 거대한 온톨로지 연구에 몰두했다. 이는 그의 초기 주체성 중심의 사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주요 저서
- 《소설의 이론》 (Die Theorie des Romans, 1916)
- 《역사와 계급 의식》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1923)
- 《괴테와 그의 시대》 (Goethe und seine Zeit, 1947)
- 《이성의 파괴》 (Die Zerstörung der Vernunft, 1954)
- 《미학 특성론》 (Ästhetik, 1963)
- 《사회적 존재의 온톨로지》 (Zur Ontologie des gesellschaftlichen Seins, 미완성)
영향 루카치의 사상은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등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비롯한 많은 서구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물화와 총체성 개념은 비판 이론의 핵심 주제가 되었다. 그의 문학 이론 역시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의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 그러나 그의 정치적 행보, 특히 스탈린주의 시대의 일부 저작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