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된서리

된서리는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면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승화하여 땅이나 물체 표면에 얼어붙는 흰색의 결정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0℃ 이하로 떨어지는 맑고 바람이 없는 밤에 잘 발생하며, 서리에 비해 결정의 크기가 크고 엉성한 형태를 띤다.

특징

  • 생성 조건: 맑은 날씨, 낮은 기온 (0℃ 이하), 약한 바람 혹은 무풍 상태, 높은 습도
  • 형태: 흰색의 결정체, 서리보다 크고 엉성함
  • 시기: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
  • 피해: 농작물 냉해, 교통 안전 사고 유발 가능성

발생 원리

대기 중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물을 거치지 않고 바로 고체 상태인 얼음으로 변하는 승화 현상을 통해 생성된다. 이는 기온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수증기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고,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지면서 발생한다.

농업적 영향

된서리는 농작물에 냉해를 입혀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잎채소나 과일 등은 된서리에 직접 노출될 경우 세포가 파괴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거나 심하면 고사하기도 한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방상 팬 설치, 물 뿌리기 등의 방법으로 된서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한다.

기타

된서리는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자연 현상 중 하나이며, 아름다운 겨울 풍경을 연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동시에 농작물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