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488건

싱할라 문자

싱할라 문자는 인도 아대륙에서 사용되는 브라흐미 문자 계열의 문자 체계로, 주로 스리랑카에서 싱할라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를 기록하는 데에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싱할라 문자는 고대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어, 점차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해 왔습니다.

역사

싱할라 문자의 기원은 기원전 3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초기 형태는 브라흐미 문자의 변형이었으며, 아소카 왕의 비문에 새겨진 문자와 유사한 특징을 보입니다.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싱할라 문자는 스리랑카의 문화적, 종교적 영향을 받으며 점진적으로 변화했습니다. 특히 불교의 전파와 함께 팔리어 경전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면서 문자의 형태와 사용법이 더욱 발전했습니다.

특징

싱할라 문자는 아부기다(Abugida) 문자 체계에 속합니다. 이는 모든 자음 글자가 내재적인 모음 ‘아’(a)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모음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호를 자음 글자에 추가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싱할라 문자는 자음과 모음, 숫자, 구두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씁니다. 복잡한 곡선과 원형을 많이 사용하여 아름다운 시각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성

싱할라 문자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 자음: 싱할라어의 자음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들입니다. 각 자음 글자는 내재적인 모음 '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모음: 내재적인 모음 '아' 외의 다른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모음 기호는 자음 글자의 위, 아래, 앞, 뒤에 결합하여 모음을 표시합니다.
  • 숫자: 싱할라 숫자는 고유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인도-아라비아 숫자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기타 기호: 구두점, 특수 문자 등 다양한 기호들이 사용됩니다.

사용

싱할라 문자는 스리랑카의 공용어인 싱할라어 표기에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불교 경전 및 기타 종교 문헌을 기록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대에는 신문, 잡지, 서적,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관련 항목

  • 싱할라어
  • 브라흐미 문자
  • 아부기다
  • 스리랑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