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369건

도키와 고젠

도키와 고젠(常盤御前, ときわごぜん)은 일본 헤이안 시대 말기의 인물로, 미나모토노 요시토모(源義朝)의 측실이자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의 어머니이다. 헤이지의 난(平治の乱) 이후의 비극적인 생애와 미모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문학 및 예술에서 자주 묘사되는 인물이다.

생애

도키와 고젠의 출신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적으나, 당시 기록이나 후세의 문학 작품에서는 아름다운 외모로 묘사된다. 그녀는 가마쿠라 막부의 시조인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와는 이복 형제인 미나모토노 노리요리(源範頼, 이마와카今若), 미나모토노 요시엔(源義円, 오쓰와카乙若), 그리고 훗날 일본 역사상 가장 유명한 비운의 영웅 중 한 명이 되는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 우시와카牛若) 세 아들을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의 사이에서 낳았다.

1160년, 미나모토 씨와 다이라 씨 사이에 벌어진 권력 다툼인 헤이지의 난에서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는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에게 패하고 전사한다. 요시토모가 죽자, 도키와 고젠은 아직 어린 세 아들을 데리고 눈이 쌓인 교토를 피해 외진 곳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어머니(또는 자신이) 다이라 씨에게 붙잡히자, 도키와 고젠은 어린 아들들을 구하기 위해 스스로 다이라노 기요모리에게 나아갔다고 전해진다. 이후 그녀가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측실이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으나, 이는 후세의 문학 작품에 의해 만들어진 이야기일 가능성도 있으며 역사적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도키와 고젠이 기요모리에게 투항하면서 세 아들은 구명되었다. 이마와카와 오쓰와카는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우시와카는 구라마데라(鞍馬寺)에 맡겨져 승려가 될 예정이었으나 훗날 출가하지 않고 무사로서 이름을 떨치게 된다.

도키와 고젠의 이후 생애에 대해서는 기록이 부족하여 여러 설이 존재하며 명확하게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자녀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

  • 미나모토노 노리요리(源範頼)
  • 미나모토노 요시엔(源義円)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 - 특히 일본 역사와 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이다.

문학 및 예술에서의 묘사

도키와 고젠의 이야기는 일본의 대표적인 군기 이야기인 『헤이지 이야기(平治物語)』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특히 눈 내리는 밤에 어린 세 아들을 데리고 피난하는 장면은 일본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 어머니의 강한 사랑과 비극적인 운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장면으로 자주 그려진다.

노(能), 가부키(歌舞伎) 등 전통 예능과 우키요에(浮世絵) 등 회화 작품에서도 그녀의 생애와 관련된 이야기가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진다.

평가

도키와 고젠은 미모와 함께 자녀를 지키기 위해 희생적인 선택을 해야 했던 비극적인 어머니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격동의 헤이안 시대 말기에 미나모토 씨와 다이라 씨의 권력 투쟁이라는 큰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개인적인 비극을 겪었던 여인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이야기는 자녀에 대한 모성과 역사의 비정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