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137건

담도

담도 (膽道, biliary tract)는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운반하는 경로를 말한다. 간내 담도와 간외 담도로 나뉘며, 담즙의 저장 및 농축 기능을 수행하는 담낭(쓸개)과 연결되어 있다.

해부학적 구조

  • 간내 담도: 간 내부에 있는 작은 담관들로, 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을 모아 점차 굵은 관으로 합쳐진다. 좌우 간관(hepatic duct)으로 연결된다.

  • 간외 담도: 간문(porta hepatis)에서 시작하여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담도이다.

    • 총간관 (common hepatic duct): 간에서 나오는 좌우 간관이 합쳐져 형성된다.

    • 담낭관 (cystic duct): 담낭(쓸개)에서 총간관으로 연결되는 관이다. 담즙을 담낭에 저장하고, 필요시 담즙을 총담관으로 배출한다.

    • 총담관 (common bile duct): 총간관과 담낭관이 합쳐져 형성되며, 췌관(pancreatic duct)과 합쳐져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연결된다. 오디 괄약근(sphincter of Oddi)이 바터팽대부 주위에 위치하여 담즙과 췌액의 흐름을 조절한다.

기능

  • 담즙 운반: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운반하여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 담즙 저장 및 농축: 담낭은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시켜 필요시 배출한다.

관련 질환

담도에 발생하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담석증 (gallstone disease): 담낭이나 담도 내에 담석이 형성되는 질환이다.
  • 담낭염 (cholecystitis): 담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담석에 의해 발생한다.
  • 담도염 (cholangitis): 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담석, 종양, 수술 후 협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담도암 (cholangiocarcinoma): 담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 선천성 담도 확장증 (choledochal cyst): 담도가 선천적으로 확장되어 있는 질환이다.
  •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primary biliary cholangitis): 자가면역 질환으로, 간 내 작은 담관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만성 간질환이다.

진단 방법

담도 질환의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 혈액 검사: 간 기능 검사, 염증 수치 등을 확인한다.
  • 복부 초음파 검사: 담낭 및 담도를 영상으로 확인한다.
  • CT 검사 (computed tomography): 담도, 간, 췌장 등의 구조를 자세히 영상으로 확인한다.
  • MRI 검사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검사와 유사하게 담도 및 주변 장기를 영상으로 확인하며, 담도 및 췌관을 특이적으로 볼 수 있는 MRCP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내시경을 통해 담도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촬영을 한다. 진단 뿐만 아니라 담석 제거, 스텐트 삽입 등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