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발가락뛰는쥐속
다섯발가락뛰는쥐속(Sicista)은 설치류 목 다섯발가락뛰는쥐과(Sminthidae)에 속하는 속이다. 과거에는 뛰는쥐과(Dipodidae) 또는 쥐과(Muridae)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독립적인 과로 분류되거나 뛰는쥐과의 하위 아과(Sminthinae)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속의 동물들은 자작나무쥐(Birch Mouse)라고도 불리며, 뒷발에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고 도약하며 이동하는 특징을 지닌다.
분류
- 계: 동물계 (Animalia)
- 문: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포유강 (Mammalia)
- 목: 설치류목 (Rodentia)
- 과: 다섯발가락뛰는쥐과 (Sminthidae) 또는 뛰는쥐과 (Dipodidae)의 하위 아과 (Sminthinae)
- 속: 다섯발가락뛰는쥐속 (Sicista)
특징 다섯발가락뛰는쥐속의 동물들은 몸 길이가 5~9cm, 꼬리 길이가 6~11cm 정도로 작은 설치류에 속한다. 꼬리는 몸보다 길며, 일부 종은 물건을 잡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잡는꼬리(semi-prehensile)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가장 큰 특징은 뒷발에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동할 때는 주로 뒷발을 이용해 뛰거나 도약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털 색깔은 종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로 옅은 갈색, 회색 또는 황갈색이며, 등 중앙에 짙은 줄무늬가 있는 종도 있다.
서식지 및 분포 이 속은 유럽과 아시아의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숲, 관목림, 초원, 산악 지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습하거나 비교적 건조한 서식지 모두에서 생활한다.
행동 다섯발가락뛰는쥐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먹이는 주로 곤충, 거미 등의 절지동물과 씨앗, 열매 등을 섭취한다. 많은 종들이 겨울 동안 동면하여 추운 계절을 보낸다.
하위 종 현재까지 약 19개 종이 다섯발가락뛰는쥐속으로 분류되고 있다 (2023년 기준 포유류 다양성 데이터베이스).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 북유럽자작나무쥐 (S. betulina)
- 긴꼬리다섯발가락뛰는쥐 (S. caudata)
- 캅카스다섯발가락뛰는쥐 (S. caucasica)
- 중국의다섯발가락뛰는쥐 (S. concolor)
- 카자흐스탄뛰는쥐 (S. subtilis)
- 일곱줄무늬자작나무쥐 (S. trizona)
- 아르메니아다섯발가락뛰는쥐 (S. armenica)
- 등 다수의 종
보전 상태 다섯발가락뛰는쥐속에 속하는 각 종의 보전 상태는 다양하다. 일부 종은 비교적 개체수가 안정적이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일부 종은 취약(Vulnerable) 또는 위기(Endangered) 등급으로 분류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