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9,239건

다극신경세포

다극신경세포 (Multipolar neuron)는 신경세포, 즉 뉴런의 한 종류로서, 하나의 축삭돌기(axon)와 두 개 이상의 수상돌기(dendrite)를 가지고 있는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다극신경세포가 다른 뉴런으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받아들여 통합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축삭돌기를 통해 다른 뉴런으로 전달하는 데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극신경세포는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형태의 뉴런이다. 대뇌 피질, 소뇌, 척수 등 다양한 뇌 영역에 분포하며, 운동 신경 뉴런, 피라미드 세포, 푸르키네 세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들은 운동 조절, 감각 정보 처리, 인지 기능 등 복잡한 신경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다극신경세포의 기능은 수상돌기를 통해 시냅스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세포체에서 이러한 신호들을 통합하여 활동전위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발생한 활동전위는 축삭돌기를 따라 전달되어 다른 뉴런이나 근육 세포, 샘 등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수상돌기의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시냅스는 다극신경세포가 광범위한 입력을 처리하고,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극신경세포의 손상은 다양한 신경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신경 뉴런의 손상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뇌 피질의 다극신경세포 손상은 인지 기능 저하 및 치매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다극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는 신경 질환의 병태 생리를 이해하고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