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108건

눈구멍

눈구멍은 안와(眼窩)라고도 하며, 두개골에서 눈과 그 부속 기관들이 자리 잡는 뼈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얼굴뼈를 구성하는 여러 뼈들이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며, 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시신경, 혈관, 근육 등이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구조

눈구멍은 대략 원뿔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7개의 뼈, 즉 이마뼈(전두골), 광대뼈(관골), 위턱뼈(상악골), 코뼈(비골), 눈물뼈(누골), 나비뼈(접형골), 목뿔뼈(사골)로 이루어져 있다. 각 뼈들은 봉합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눈구멍의 크기와 형태는 개인차가 존재한다. 눈구멍의 앞쪽은 안검(눈꺼풀)과 결막에 의해 보호받고, 뒤쪽 깊숙한 곳에는 시신경이 뇌로 연결되는 시신경관이 위치한다.

기능

눈구멍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 눈의 보호: 외부 충격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눈의 위치를 고정하여 시각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 눈 운동의 용이성 제공: 눈을 움직이는 외안근들이 눈구멍 내에 부착되어 눈의 자유로운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 시신경 및 혈관의 통로: 시신경, 안동맥, 안정맥 등 눈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신경과 혈관이 눈구멍을 통해 뇌와 연결된다.
  • 눈물샘 및 눈물관의 위치 제공: 눈물샘에서 생성된 눈물이 코로 배출되는 눈물관이 눈구멍 내에 위치하여 눈의 윤활 작용을 돕는다.

임상적 중요성

눈구멍은 다양한 질환과 외상에 취약할 수 있다.

  • 안와골절: 외부 충격에 의해 눈구멍을 구성하는 뼈가 골절될 수 있으며, 복시, 시력 저하, 안구 함몰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안와종양: 눈구멍 내에 종양이 발생하면 안구 돌출, 시력 저하, 복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종양의 종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다.
  • 갑상선 안병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관련된 자가면역 질환으로, 눈구멍 내 조직의 염증과 부종을 유발하여 안구 돌출, 복시, 안검 후퇴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선천성 기형: 드물게 눈구멍의 발달 이상으로 인해 선천적인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

눈과 눈 주변 조직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에 외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고, 시력 저하나 눈의 불편함이 느껴질 경우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