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88건

뇌염

뇌염 (腦炎, Encephalitis)은 뇌 실질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감염성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등이 있으며, 특히 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비감염성 원인으로는 자가면역 질환, 약물, 독성 물질 등이 있다.

증상

뇌염의 증상은 원인, 환자의 나이, 면역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초기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피로감,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의식 저하, 발작, 마비, 언어 장애, 인지 기능 저하 등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영유아의 경우 보챔,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원인

  • 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일본뇌염 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뇌염 바이러스 등
    • 세균: 결핵균, 매독균, 리스테리아균 등
    • 진균: 칸디다, 아스페르길루스 등
    • 기생충: 톡소포자충, 말라리아 원충 등
  • 비감염성 원인:
    • 자가면역 질환: 항NMDA 수용체 뇌염,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ADEM) 등
    • 약물: 특정 항생제, 항암제 등
    • 독성 물질: 납, 수은 등

진단

뇌염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병력, 신경학적 검사, 뇌 영상 검사 (MRI, CT), 뇌척수액 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뇌척수액 검사는 뇌압 측정, 세포 검사, 단백질 및 포도당 농도 측정, 미생물 배양 검사 등을 통해 뇌염의 원인을 감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료

뇌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다. 바이러스 뇌염의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고, 세균 뇌염의 경우 항생제를 투여한다. 자가면역 뇌염의 경우 면역 억제제를 투여할 수 있다. 증상 완화를 위해 해열제, 진통제, 항경련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예방

뇌염의 예방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일본뇌염과 같은 특정 바이러스 뇌염은 예방 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모기 매개 질환 예방을 위해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