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음
내음은 코로 맡을 수 있는 냄새를 의미하는 순우리말이다. 특정 사물, 장소, 상황 등에서 풍겨 나오는 희미하거나 은은한 냄새를 지칭할 때 주로 사용된다. "향기"나 "악취"와 같은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더욱 간접적이고 포괄적인 뉘앙스를 가진다.
어원 및 용법
- 어원: '나다'의 명사형인 '나음'에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나는 냄새'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용법: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냄새 모두를 표현할 수 있으나, 주로 은은하고 좋은 냄새를 묘사할 때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봄 내음", "흙 내음", "꽃 내음" 등과 같이 자연에서 나는 냄새를 표현하거나, "사람 내음", "고향 내음" 등과 같이 추억이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냄새를 표현할 때 활용된다.
관련 어휘
- 향기: 좋고 달콤한 냄새를 의미한다.
- 악취: 불쾌하고 역겨운 냄새를 의미한다.
- 냄새: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좋고 나쁨에 상관없이 모든 냄새를 포괄한다.
- 향: 향기로운 냄새를 풍기는 물질 또는 그 냄새 자체를 의미한다.
- 취기: 술이나 음식 따위에서 나는 냄새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