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항근
길항근(拮抗筋, 영어: antagonist muscle)은 특정 움직임을 수행하는 주된 근육(작용근, agonist)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근육을 의미한다. 인체의 대부분의 관절 움직임은 두 개 이상의 근육이 서로 협력하거나 길항하며 이루어진다.
개요 움직임이 일어날 때, 작용근이 수축하여 관절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길항근은 이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완한다. 예를 들어 팔꿈치를 굽힐 때(굴곡),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은 작용근으로서 수축하고,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은 길항근으로서 이완한다. 반대로 팔꿈치를 펼 때(신전), 상완삼두근이 작용근이 되어 수축하고 상완이두근은 길항근이 되어 이완한다.
길항근은 단순히 반대 작용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작용근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속도를 늦추어 부드러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로는 작용근과 길항근이 동시에 약하게 수축하여 관절을 안정시키기도 하는데, 이를 공동수축(co-contraction)이라고 한다.
기능 길항근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움직임 제어: 작용근의 수축 속도와 힘을 조절하여 움직임이 급격하거나 불안정하지 않도록 한다.
- 반대 작용: 작용근이 이완했을 때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을 수행한다.
- 관절 안정성: 움직임 중 또는 정적인 자세에서 관절 주변을 안정시켜 부상을 방지한다.
- 협응: 신경계의 조절을 통해 작용근과 길항근의 수축 및 이완 타이밍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원활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시
- 팔꿈치: 상완이두근(굴곡)과 상완삼두근(신전)
- 무릎: 대퇴사두근(신전)과 슬괵근(굴곡)
- 손목/손가락: 굴곡근(flexors)과 신전근(extensors)
- 발목: 발등굽힘근(dorsiflexors)과 발바닥굽힘근(plantarflexors)
관련 용어
- 작용근(Agonist): 특정 움직임을 수행하는 주된 근육.
- 협력근(Synergist): 작용근의 움직임을 돕거나 보조하는 근육.
- 고정근(Fixator): 작용근의 시작점(origin)이나 관절을 안정시켜 작용근이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근육.
길항근 시스템은 인체의 근골격계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개념이며, 스포츠, 재활 치료, 물리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