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8,833건

천왕문

천왕문(天王門)은 불교 사찰에서 볼 수 있는 건축물 중 하나로, 사찰의 입구에 세워져 속세와 불교 세계를 구분하는 문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금강역사 또는 사천왕상을 모셔 놓아 사찰을 보호하고 악귀를 쫓는 의미를 가진다.

기능 및 특징

천왕문은 단순히 사찰로 들어가는 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다음은 천왕문의 주요 기능과 특징이다.

  • 사찰 수호: 문 양쪽에 금강역사나 사천왕상을 배치하여 사찰을 지키는 수호신의 역할을 한다.
  • 악귀 퇴치: 험상궂은 표정의 금강역사나 사천왕상은 악귀를 쫓아내고 사찰의 청정함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 불교적 상징: 천왕문은 불교 세계로 들어서는 상징적인 관문으로, 속세의 번뇌를 벗고 정진하는 마음으로 사찰에 들어서도록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건축 양식: 천왕문의 건축 양식은 사찰의 규모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다포계 양식으로 웅장하게 지어지며, 화려한 단청과 조각으로 장식된다.

사천왕상

천왕문에 모셔지는 사천왕상은 동서남북 각 방위를 지키는 수호신이다. 각각의 천왕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지국천왕(持國天王): 동쪽을 수호하며, 비파를 들고 있다. 백성을 보호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의미를 가진다.
  • 증장천왕(增長天王): 남쪽을 수호하며, 칼을 들고 있다. 위덕으로 악귀를 물리치고 중생을 이롭게 하는 의미를 가진다.
  • 광목천왕(廣目天王): 서쪽을 수호하며, 용 또는 탑을 들고 있다. 넓은 눈으로 세상을 감찰하여 악인을 벌하고 선인을 보호하는 의미를 가진다.
  • 다문천왕(多聞天王): 북쪽을 수호하며, 보탑 또는 창을 들고 있다. 항상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널리 알리는 의미를 가진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