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식
금식 (禁食, Fasting)은 일정 기간 동안 음식 섭취를 의도적으로 중단하거나 제한하는 행위를 말한다. 금식은 종교적인 의례, 건강 관리, 정치적 저항 등 다양한 목적으로 행해진다. 금식의 형태는 완전한 음식 섭취 중단에서부터 특정 음식 종류의 제한, 칼로리 섭취량 제한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목적
- 종교적 목적: 많은 종교에서 금식은 자기 수양, 영적인 정화, 신과의 교감 증진 등을 목적으로 수행된다. 기독교의 사순절, 이슬람교의 라마단, 불교의 안거 기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건강 관리 목적: 체중 감량, 혈당 조절,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자가 포식 활성화 등을 목표로 금식을 활용하기도 한다. 간헐적 단식, 단기 금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금식은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정치적 목적: 비폭력 저항의 수단으로 금식을 활용하기도 한다. 굶주림을 통해 사회적 불의에 대한 항의 의사를 표현하고, 여론의 관심을 촉구하는 방식이다.
- 기타: 특정 검사나 시술 전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경우, 극심한 스트레스나 질병으로 인해 식욕이 저하되어 자연스럽게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도 금식에 포함될 수 있다.
주의사항
금식은 건강 상태에 따라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임산부, 수유부, 어린이, 노인, 만성 질환자 등은 금식을 피해야 하며, 건강한 성인이라도 금식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안전하다. 금식 중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며, 어지럼증, 두통,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금식을 중단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