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
국세는 국가가 직접 부과하고 징수하는 세금의 총칭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고 징수하는 지방세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국세는 국가 재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국방, 교육, 복지 등 공공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종류
국세는 과세 대상에 따라 크게 직접세와 간접세로 구분될 수 있다.
- 직접세: 소득, 재산 등 납세자의 담세력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여 부과하는 세금이다.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간접세: 재화나 용역의 소비, 유통 과정에서 부과되는 세금으로, 납세자와 세금 부담자가 일치하지 않는다.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주요 국세
- 소득세: 개인의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다양한 소득 종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진다.
- 법인세: 법인의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법인의 사업 활동을 통해 발생한 이익에 대해 과세한다.
- 부가가치세: 재화나 용역의 생산 및 유통 각 단계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최종 소비자가 부담한다.
- 상속세: 상속으로 인해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 증여세: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징수 및 관리
국세는 국세청이 징수 및 관리하며, 세법에 따라 부과 및 징수 절차가 규정되어 있다. 납세자는 세법에 따라 정확하게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할 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