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음
구강음(口腔音, oral sound)은 음성학에서 혀, 입술, 연구개 등의 조음 기관을 사용하여 구강을 통해 공기를 내보내 만들어지는 소리, 즉 입 안에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비강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음과는 대조를 이룬다. 대부분의 자음과 모음이 구강음에 속하며, 한국어의 모든 모음은 구강음이다.
구강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조음 위치는 소리가 만들어지는 입 안의 위치(예: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를 나타내며, 조음 방법은 공기를 막거나 좁히는 방식(예: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구강음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ㄱ'은 연구개에서 만들어지는 파열음으로, 구강음의 한 종류이다. 반면, 'ㅁ'은 양쪽 입술을 막고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 만들어지는 비음이다.
구강음의 정확한 발음은 언어마다 다르며, 외국어 학습 시 특히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