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교육부는 대한민국의 교육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대한민국 정부의 주요 부처 중 하나이며, 교육 정책 수립 및 집행, 학교 교육, 평생 교육, 직업 교육, 학술 연구 지원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담당한다.
주요 기능 및 역할
- 교육 정책 수립 및 집행: 국가 교육 과정, 대학 입시 제도, 교원 양성 및 임용 제도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 학교 교육 관리 및 지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 각급 학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지도, 감독을 수행하며, 교육 과정 운영, 교원 인사, 재정 지원 등을 통해 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평생 교육 및 직업 교육 진흥: 국민의 평생 학습 기회를 확대하고, 사회 변화에 필요한 직업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평생 교육 프로그램 및 직업 교육 훈련을 지원한다.
- 학술 연구 지원: 대학 및 연구 기관의 학술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학술 연구 성과의 확산 및 활용을 촉진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
- 국제 교육 교류 협력: 해외 각국과의 교육 교류 협력을 통해 교육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고, 국제 사회의 발전과 번영에 기여한다.
조직
교육부는 장관, 차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 국,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하 기관으로는 국립대학, 교육청, 교원 양성 기관 등이 있다. 교육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위해 교육 관련 전문가, 학계, 시민 사회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긴밀하게 협력한다.
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문교부로 출범하여, 시대 변화에 따라 교육 정책의 변화와 함께 명칭 및 기능이 변화해 왔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교육인적자원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다시 교육부로 환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