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량
공급량은 경제학에서 특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에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을 의미한다. 이는 수요량과 함께 시장의 균형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개념
공급량은 단순히 생산량이 아니라, 생산자가 시장에 내놓을 의사와 능력이 있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산 능력과 함께 생산 비용, 기술 수준, 미래에 대한 기대 등 다양한 요인이 공급량에 영향을 미친다.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가격: 일반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면 판매자는 더 많은 이윤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공급량을 늘리려는 경향이 있다. 이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한다.
- 생산 비용: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가격, 노동 비용, 에너지 비용 등이 상승하면 기업의 이윤이 감소하므로 공급량은 줄어들 수 있다.
- 기술 수준: 생산 기술이 발전하면 생산성이 향상되어 더 낮은 비용으로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공급량이 증가한다.
- 미래에 대한 기대: 미래에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판매자는 현재 공급량을 줄이고 미래에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려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가격 하락이 예상되면 현재 공급량을 늘릴 수 있다.
- 정부 정책: 정부의 세금 부과, 보조금 지급, 규제 등은 기업의 생산 비용이나 이윤에 영향을 미쳐 공급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급 곡선
공급량과 가격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공급 곡선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공급 곡선은 우상향하는 형태를 띠는데, 이는 가격이 상승할수록 공급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관련 개념
- 수요량: 특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에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
- 균형 가격: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가격.
- 공급의 법칙: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이 감소하는 경향.
- 공급의 탄력성: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