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5,689건

양순 파열음

양순 파열음은 조음 방법이 파열음이고, 조음 위치가 양순인 자음이다. 즉, 입술을 완전히 닫아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양순 파열음이 존재한다.

  • [p]: 무성 양순 파열음 (예: 한국어의 'ㅂ' – 된소리되기 이전, 영어의 'p'와 유사)
  • [b]: 유성 양순 파열음 (예: 한국어의 'ㅂ' – 일부 환경, 영어의 'b'와 유사)
  • [pʰ]: 유기음 양순 파열음 (예: 한국어의 'ㅍ')

이러한 양순 파열음들은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되며, 각 언어마다 음성학적 특성이나 분포에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유성 양순 파열음 [b]와 무성 양순 파열음 [p]가 대립하지만, 한국어에서는 평음 'ㅂ'이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되어 [b]와 유사하게 발음될 수 있다. 또한, 한국어에는 유기음 'ㅍ' [pʰ]가 존재하지만, 영어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양순 파열음은 언어학 연구에서 기본적인 자음 유형 중 하나로 다루어지며, 음운론, 음성학, 조음음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