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92건

고령화

고령화는 한 사회의 전체 인구 중에서 노인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인구를 노인 인구로 정의하며, 전체 인구에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 기준을 넘어서는 경우 고령화 사회, 고령 사회, 초고령 사회 등으로 구분한다.

고령화 사회의 기준

  •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 14% 미만인 사회
  • 고령 사회(Aged Society):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 20% 미만인 사회
  •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20% 이상인 사회

고령화의 원인

고령화는 주로 출산율 감소와 평균 수명 연장의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 출산율 감소: 경제적인 부담 증가,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 가치관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한다.
  • 평균 수명 연장: 의학 기술의 발전, 생활 수준 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연장된다.

고령화의 영향

고령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경제적 영향: 노동력 부족, 생산성 감소, 사회 복지 비용 증가, 소비 위축 등 경제 성장 잠재력을 저해할 수 있다.
  • 사회적 영향: 노인 부양 문제 심화, 세대 갈등 심화, 의료 및 복지 시스템 부담 증가, 사회 활력 저하 등 사회 전반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 정치적 영향: 노인 유권자의 영향력 증대, 복지 정책에 대한 요구 증가,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세대 간 이해 충돌 등 정치적 지형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고령화에 대한 대응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출산율 제고: 출산 및 양육 지원 정책 강화, 일과 가정 양립 환경 조성,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등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고령 인력 활용: 정년 연장, 고령자 맞춤형 일자리 개발, 직업 능력 개발 교육 지원 등을 통해 고령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사회 복지 시스템 강화: 노인 복지 서비스 확대, 건강 보험 및 연금 제도 개선, 노인 의료 지원 강화 등을 통해 고령 사회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관련 용어

  • 인구 고령화 지수
  • 액티브 시니어
  • 실버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