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함 (문화)

은 혼례 문화의 한 형태로, 신랑 측에서 신부 측으로 보내는 예물 상자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물건을 전달하는 행위를 넘어, 신랑 집안의 성의를 표현하고 혼례의 성립을 알리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구성:

함의 구성품은 지역과 가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품목들이 포함된다.

  • 혼서지: 신랑 집안에서 신부 집안에 보내는 편지로, 혼례를 허락해 주셔서 감사하다는 내용과 함께 앞으로 잘 부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채단: 신부가 혼례 때 입을 옷감으로, 보통 붉은색과 푸른색 비단이 사용된다. 이는 음양의 조화를 상징한다.
  • 오곡 주머니: 찹쌀, 팥, 콩, 목화씨, 향 등의 오곡을 넣어 만든 주머니로,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함 덮개: 함을 덮는 천으로, 보통 청색과 홍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덮개 위에 복(福) 자를 수놓기도 한다.
  • 기타: 거울, 자물쇠, 열쇠 등 다양한 물품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가문의 전통이나 신부의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

함 보내는 과정:

함을 보내는 과정 또한 중요한 절차로 여겨진다. 함을 진 사람들은 함진아비라고 불리며, 이들은 보통 신랑의 친척이나 친구 중에서 덕망이 높고 부부 금실이 좋은 사람들로 구성된다. 함진아비들은 함을 지고 신부 집으로 가면서, 신부 집 앞에서 "함 사시오!"를 외치며 흥을 돋운다. 신부 집에서는 함값을 흥정하고, 함을 받아 정성껏 맞이한다. 이러한 과정은 혼례의 흥겨움을 더하고, 양 가문의 화합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적 변화:

현대에 들어서면서 함 문화는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혼례 절차가 간소화되고 실용적인 선물을 주고받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전통적인 함 대신 현금이나 상품권 등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함 문화가 지닌 상징적인 의미와 전통적인 가치는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함 문화를 계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