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수학
고등학교 수학은 중학교 수학의 내용을 심화 확장하고, 대학 수학 학습에 필요한 기초 개념과 논리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과정이다. 대한민국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필수 이수 과목(수학, 수학Ⅰ, 수학Ⅱ)과 선택 과목(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으로 구성된다.
주요 내용:
-
수학: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함수 등의 기본적인 개념을 다룬다. 고등학교 수학의 기초를 다지는 과정으로, 이후 학습할 내용을 위한 필수적인 내용들을 포함한다.
-
수학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 수열 등을 다룬다.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데 활용되는 함수들의 특징과 그래프, 그리고 규칙성을 가지는 수의 배열인 수열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수학Ⅱ: 함수의 극한과 연속, 미분, 적분 등을 다룬다. 미분과 적분은 변화율과 넓이를 구하는 데 사용되며,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
확률과 통계: 확률, 통계적 추정 등을 다룬다. 불확실한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필요한 확률 개념과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통계적 방법들을 학습한다.
-
미적분: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과 적분, 미분과 적분의 활용 등을 다룬다. 수학Ⅱ에서 학습한 미분과 적분의 내용을 심화하여 다양한 함수의 미분법과 적분법을 익히고, 이를 활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른다.
-
기하: 평면 벡터, 공간 도형, 공간 좌표 등을 다룬다. 벡터를 이용하여 평면과 공간의 도형을 분석하고, 공간 좌표를 이용하여 공간 도형의 위치 관계와 성질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른다.
학습 목표:
고등학교 수학 교육은 단순히 공식을 암기하고 문제를 푸는 것을 넘어,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실생활 문제 해결에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고,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학 진학 후 자연과학, 공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관련 용어:
함수, 방정식, 부등식, 미분, 적분, 확률, 통계, 벡터, 수열, 극한, 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