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299건

계유명삼존천불비상

계유명삼존천불비상은 643년(계유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제 불상으로, 삼존불 형식에 천불(千佛)의 이미지를 새겨 넣어 조성된 비상(碑像)이다. 현존하는 유일한 계유명 불상으로, 제작 시기와 제작 주체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중요한 불교 조각 자료이다.

개요

계유명삼존천불비상은 중앙에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한 삼존불 형식이며, 주존불의 광배와 대좌, 그리고 비상의 측면에 천불의 이미지를 작게 새겨 넣었다. 비상 뒷면에는 조성 배경과 관련된 명문이 새겨져 있어 제작 시기, 발원자, 참여 장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징

  • 형식: 삼존불 형식에 천불을 배치한 독특한 구성
  • 재료: 금동
  • 명문: 조성 배경 및 관련 정보를 담은 명문 존재
  • 의의: 7세기 초 불교 조각 양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

명문

비상 뒷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 제작 연도: 643년 (계유년)으로 추정
  • 발원자: 왕실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기 위해 왕족 또는 귀족이 발원한 것으로 추정
  • 제작 목적: 부처님의 가피를 통해 국가의 평안과 개인의 행복을 기원

의의 및 가치

계유명삼존천불비상은 7세기 초 신라 불교 조각의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특히, 명문을 통해 제작 시기와 발원자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어, 당시 불교 문화와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삼존불 형식에 천불을 결합한 독특한 구성은 당시 불교 미술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