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렴주구
가렴주구 (苛斂誅求)는 백성을 못살게 굴 정도로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어들이고 재물을 빼앗는 행위를 비판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어원 및 의미
- 가렴(苛斂):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어들임.
- 주구(誅求):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
즉, '가렴주구'는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는 탐관오리들의 행태를 집약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이며, 단순히 세금을 많이 걷는 것을 넘어 백성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의 착취를 의미한다.
역사적 배경
가렴주구는 봉건 사회에서 지배층의 부패와 탐욕이 극심해질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농민 봉기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국사에서도 조선 시대 삼정의 문란 등으로 인해 가렴주구가 심해지면서 민중들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는 결국 임술민란과 같은 대규모 농민 봉기로 이어졌다.
현대적 의미
오늘날에는 직접적인 세금 징수 외에도 부당한 방법으로 이익을 취하거나, 사회적 약자를 착취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공정하지 못한 경제 정책이나 기업 활동 등을 비판할 때 '가렴주구'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그 부당함을 강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