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004건

희소돌기아교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는 중추신경계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교세포의 한 종류이다. 이 세포는 신경 섬유, 즉 축삭을 둘러싸는 절연 물질인 미엘린 (myelin)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미엘린 수초는 축삭을 따라 신경 신호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도약 전도라고 한다.

희소돌기아교세포는 하나의 세포가 여러 개의 축삭 구획을 미엘린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말초신경계의 슈반 세포와 구별된다. 슈반 세포는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축삭 구획만을 미엘린화한다.

기능:

  • 미엘린 형성: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주요 기능은 미엘린을 생성하고 축삭 주위에 미엘린 수초를 형성하는 것이다. 미엘린은 지질이 풍부한 절연 물질로, 축삭을 따라 전기적 신호가 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 축삭 지지 및 영양 공급: 희소돌기아교세포는 축삭을 물리적으로 지지하고, 특정 성장 인자를 제공하여 축삭의 생존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 뇌 항상성 유지: 미엘린 수초는 이온과 분자의 흐름을 조절하여 뇌의 미세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임상적 중요성: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손상 또는 기능 장애는 다양한 신경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MS): 자가면역 질환으로, 면역계가 미엘린을 공격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와 미엘린 수초가 손상된다. 이로 인해 신경 신호 전달이 방해를 받아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 뇌성마비 (Cerebral Palsy): 뇌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으로 인해 희소돌기아교세포의 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백질 이영양증 (Leukodystrophies): 유전적인 질환으로, 미엘린 형성 과정에 이상이 생겨 뇌 백질에 손상이 발생한다.

연구 동향: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생성, 분화, 미엘린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는 신경 질환의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질환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보호하고 미엘린 재생을 촉진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