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400건

현가

현가 (懸架)는 자동차, 철도 차량 등에서 차체와 바퀴 (차륜) 사이를 연결하여 노면으로부터의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차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장치이다. 서스펜션(Suspension)이라고도 불린다. 현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승차감 향상: 노면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 조종 안정성 확보: 바퀴가 노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유지하여 차량의 조종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 차체 보호: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아 차체를 보호한다.

현가의 구성 요소

현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스프링: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토션 바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 쇼크 업소버 (댐퍼): 스프링의 진동을 감쇠시켜 차량의 흔들림을 줄여준다. 오일 댐퍼, 가스 댐퍼 등이 사용된다.
  • 링크 및 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고 바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 스태빌라이저 (안티롤 바): 차체의 롤링 (좌우 기울어짐)을 억제하여 선회 성능을 향상시킨다.

현가의 종류

현가의 종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지만, 크게 독립 현가와 차축 현가로 나눌 수 있다.

  • 독립 현가: 각 바퀴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 현가 장치이다.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블 위시본 현가, 맥퍼슨 스트럿 현가 등이 대표적이다.
  • 차축 현가: 좌우 바퀴가 하나의 차축으로 연결된 현가 장치이다.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은 독립 현가에 비해 떨어진다. 판 스프링 현가, 토션 빔 현가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전자 제어 현가 (ECS,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와 같이 능동적으로 감쇠력이나 차고를 조절하여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현가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