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농성연쇄상구균
화농성 연쇄상구균 (化膿性連鎖狀球菌, Streptococcus pyogenes)은 사람에게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세균이다. A군 연쇄상구균 (Group A Streptococcus, GAS)이라고도 불리며, 연쇄상구균속에 속한다. 주로 인두염, 피부 감염을 일으키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패혈증, 급성 사구체신염, 류마티스열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특징
화농성 연쇄상구균은 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현미경으로 관찰 시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를 보인다. 협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카탈라아제 음성 반응을 보인다. 세포벽에는 펩티도글리칸과 함께 특유의 M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는 균의 병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농성 연쇄상구균은 다양한 독성 인자를 분비하여 숙주 조직을 파괴하고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독성 인자로는 스트렙톨리신 O, 스트렙톨리신 S, 연쇄상구균성 발열 외독소 (Streptococcal pyrogenic exotoxins, SPEs) 등이 있다.
감염 경로 및 질병
화농성 연쇄상구균은 주로 호흡기 비말이나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주요 감염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인두염 (Strep throat): 목의 통증, 발열, 편도선의 부종과 발적을 특징으로 한다.
- 피부 감염: 농가진, 봉와직염, 단독 등 다양한 형태의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 성홍열 (Scarlet fever): 인두염과 함께 피부에 붉은 발진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연쇄상구균성 발열 외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 패혈증 (Sepsis): 균이 혈액으로 침투하여 전신적인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심각한 상태이다.
- 급성 사구체신염 (Acute glomerulonephritis): 화농성 연쇄상구균 감염 후 발생하는 신장 질환으로, 혈뇨, 단백뇨, 부종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류마티스열 (Rheumatic fever): 화농성 연쇄상구균 감염 후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심장, 관절, 뇌 등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진단 및 치료
화농성 연쇄상구균 감염은 임상 증상과 함께 세균 배양 검사, 신속 항원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치료는 주로 페니실린과 같은 항생제를 사용하며,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에리스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급성 사구체신염이나 류마티스열과 같은 합병증의 경우,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예방
화농성 연쇄상구균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두염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