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호르몬제

호르몬제는 체내 호르몬의 부족을 보충하거나, 특정 호르몬의 작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호르몬은 내분비샘에서 생성되어 혈액을 통해 표적 세포나 기관으로 이동하여 특정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화학 물질이다. 호르몬제는 이러한 호르몬과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호르몬의 작용을 증강 또는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종류

호르몬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작용하는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호르몬제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코르티솔, 알도스테론과 같은 부신피질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성호르몬 등이 포함된다. 염증 억제, 면역 조절, 성 기능 조절 등에 사용된다.
  • 갑상선 호르몬제: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에 사용되는 레보티록신 등이 있다.
  • 인슐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며, 혈당 조절에 필수적이다.
  • 성장 호르몬제: 성장 호르몬 결핍증 치료에 사용되며, 성장 촉진 효과가 있다.
  • 피임약: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함유하여 배란을 억제하고 임신을 방지한다.

사용 목적

호르몬제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요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호르몬 결핍증 치료: 특정 호르몬의 생산 부족으로 발생하는 질환 (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해 해당 호르몬을 보충한다.
  • 질병 치료: 특정 질병의 증상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예: 염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암 치료를 위한 항호르몬제)
  • 피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함유한 피임약은 배란을 억제하여 임신을 방지한다.
  • 성 기능 조절: 남성 호르몬제는 남성 호르몬 부족으로 인한 성 기능 장애 치료에 사용되며, 여성 호르몬제는 갱년기 증상 완화 등에 사용된다.

부작용

호르몬제는 효과적인 치료 약물이지만,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는 호르몬제의 종류, 용량, 투여 기간,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체중 증가, 부종, 혈압 상승, 혈당 변화, 기분 변화, 여드름, 탈모, 골다공증 등이 있다. 장기간 사용 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주의사항

호르몬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존에 앓고 있는 질환이나 복용 중인 약물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호르몬제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