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052건

향청

향청(鄕廳)은 조선시대 지방 통치 기구의 하나로, 지방관을 보좌하고 향촌 사회의 자치 운영을 담당했던 자치 기구이다. 유향소(留鄕所)라고도 불린다.

개요

향청은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미치지 못하는 지방 사회를 안정시키고, 지방관의 행정을 보좌하며, 향촌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로 지역의 유력 양반들이 참여하여 운영되었으며, 이들은 향리들을 감찰하고 백성들의 교화와 풍속 단속을 담당했다.

기능

  • 지방관 보좌: 지방관의 명령을 전달하고, 지방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향촌 질서 유지: 향약의 시행을 감독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백성들을 교화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 향리 감찰: 지방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향리들의 비리를 감찰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했다.
  • 민원 처리: 백성들의 민원을 접수하고 처리하며, 억울한 일을 당한 백성을 구제했다.
  • 환곡 운영: 국가에서 빌려준 곡식을 관리하고, 백성들에게 나누어주는 환곡 사업을 운영했다.

조직

향청은 좌수(座首)와 별감(別監) 등의 임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좌수는 향청의 우두머리로서 향청의 업무를 총괄했으며, 별감은 좌수를 보좌하고 실무를 담당했다. 향청의 구성원은 주로 해당 지역의 유력 양반 가문 출신 인사들로 구성되었다.

변천

향청은 조선 초기부터 존재했으나, 중종 때 폐지되었다가 명종 때 다시 설치되었다. 이후 붕당 정치의 심화와 함께 향청이 붕당의 근거지로 변질되는 폐단이 발생하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는 세도정치의 영향으로 향청의 기능이 약화되었으며, 갑오개혁 이후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