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자
해석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해석자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그 의미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컴파일러와는 달리, 해석자는 소스 코드 전체를 목적 코드(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행 시점에 해석 및 실행을 동시에 수행한다.
종류: 해석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구현 방식과 성능에 차이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가 있으며, 이는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부 해석자는 바이트코드(bytecode)라는 중간 코드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바이트코드는 기계어보다는 추상적인 수준이지만, 기계어보다 해석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Java의 JVM(Java Virtual Machine)이나 Python의 PVM(Python Virtual Machine)이 바이트코드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장단점: 해석자는 컴파일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
장점:
- 개발 속도가 빠르다. 컴파일 과정이 없으므로, 코드 수정 및 실행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다.
- 플랫폼 독립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해석 환경만 구축되어 있다면, 운영체제에 관계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바이트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 디버깅이 용이하다. 소스 코드 수준에서 디버깅이 가능하며, 실행 중 오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단점:
- 실행 속도가 느리다. 컴파일러에 비해 실행 속도가 느린 편이다. 소스 코드를 실행 시점에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 메모리 사용량이 많다. 소스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관련 용어: 컴파일러, 바이트코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인터프리터(Interpreter)
참고 문헌: (참고문헌 추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