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대한민국의 국군.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에 따라 국가를 방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한다.
개요
한국군은 육군, 해군 (해병대 포함), 공군으로 구성된 합동군이다. 대통령이 국군 통수권자이며, 국방부 장관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징병제를 기본으로 하며, 일정 연령의 대한민국 남성은 병역의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다만, 여성도 장교, 준사관, 부사관으로 지원하여 복무할 수 있다.
역사
한국군의 기원은 광복 직후 창설된 국방경비대에서 찾을 수 있다. 이후 6.25 전쟁을 거치면서 전력을 증강하고 현대화되었으며, 현재는 세계적인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조직
- 육군: 지상 작전을 담당하며, 보병, 기갑, 포병, 공병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된다.
- 해군: 해상 작전을 담당하며, 함정, 항공기, 잠수함 등을 운용한다. 해병대는 상륙 작전을 주 임무로 한다.
- 공군: 공중 작전을 담당하며, 전투기, 수송기, 헬기 등을 운용한다.
주요 임무
- 국가 방위
-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국제 평화 유지 활동
- 재해·재난 구호 활동
병역 제도
- 징병제: 대한민국 남성은 헌법과 병역법에 따라 병역의 의무를 진다.
- 복무 기간: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별로 복무 기간이 다르다.
- 복무 형태: 현역, 보충역, 예비역 등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