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60건

학명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생물 분류학에서 생물을 구별하기 위해 국제적인 약속에 따라 통용되는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어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 따라 속명(屬名, genus name)과 종소명(種小名, specific epithet)으로 구성된다. 때로는 아종명(亞種名, subspecies name)이 추가되기도 한다.

학명은 생물학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고, 언어와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일반명(common name)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생물 종은 전 세계적으로 단 하나의 유효한 학명을 가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학명은 국제 명명 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되며, 식물, 동물, 세균 등 각 생물군에 따라 별도의 규약이 존재한다.

특징

  • 국제성: 전 세계 생물학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름이다.
  • 유일성: 하나의 생물 종은 하나의 유효한 학명만을 가진다.
  • 안정성: 명명 규약에 따라 함부로 변경되지 않는다.
  • 정보성: 학명은 생물의 분류학적 위치를 나타낸다.

표기법

  • 학명은 일반적으로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이탤릭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밑줄을 긋는다.
  • 속명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표기하고, 종소명과 아종명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 학명을 처음 언급할 때는 속명과 종소명을 모두 표기하고, 이후에는 속명을 약자로 줄여서 표기할 수 있다. (예: Homo sapiensH. sapiens)
  • 학명을 명명한 사람의 이름(명명자, authority)과 발표 연도를 함께 표기할 수 있다. (예: Homo sapiens Linnaeus, 1758)

예시

  • 사람: Homo sapiens
  • 개: Canis lupus familiaris
  • 사과: Malus domestica

같이 보기

  • 이명법 (Binomial nomenclature)
  • 분류학 (Taxonomy)
  • 계통학 (Phylogenetics)
  • 명명 규약 (Nomenclature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