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78건

하악골

하악골은 척추동물의 아래턱을 구성하는 뼈입니다. 흔히 '아래턱뼈'라고도 불립니다. 두개골의 일부이며, 얼굴 골격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하악골은 두개골과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입을 벌리고 닫는 등의 턱 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구조

하악골은 크게 몸통(body)과 가지(ramus)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몸통: 말굽 모양으로, 앞쪽에는 턱끝(mental protuberance)이 튀어나와 있으며, 윗부분에는 치아를 지탱하는 치조돌기(alveolar process)가 위치합니다. 몸통 내부에는 하악관(mandibular canal)이 지나가며, 이 관을 통해 하치조신경(inferior alveolar nerve)과 혈관이 분포합니다.
  • 가지: 하악골 몸통의 뒤쪽에서 위로 뻗어 나가는 부분입니다. 가지의 위쪽 끝에는 두 개의 돌기가 있는데, 앞쪽의 근돌기(coronoid process)는 측두근(temporalis muscle)이 부착되는 부위이며, 뒤쪽의 관절돌기(condylar process)는 턱관절을 형성하는 부분입니다. 가지의 안쪽 면에는 하악공(mandibular foramen)이 존재하며, 이곳을 통해 하치조신경과 혈관이 하악관으로 들어갑니다.

기능

하악골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저작 기능: 치아를 지지하고, 저작근(masseter, temporalis, medial pterygoid, lateral pterygoid)의 작용을 통해 음식을 씹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 발음 기능: 입술, 혀와 함께 발음을 조절하는 데 기여합니다.
  • 얼굴 형태 유지: 얼굴 하부의 형태를 결정하고, 얼굴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신경 및 혈관 보호: 하악관을 통해 하치조신경과 혈관을 보호합니다.

임상적 중요성

하악골은 다양한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골절: 외상으로 인해 하악골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턱 운동 장애, 통증, 감각 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턱관절 장애: 턱관절의 이상으로 인해 통증, 턱 운동 제한, 관절 잡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악교정 수술: 턱뼈의 위치 이상으로 인해 부정교합이 발생한 경우, 악교정 수술을 통해 하악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종양: 하악골에 양성 또는 악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과적 제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타

  • 하악골은 성장 과정에서 변화하며, 성인이 되면 완전히 골화됩니다.
  • 개인의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등에 따라 하악골의 형태와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 고고학적 발굴에서 발견되는 하악골은 고대 인류의 식습관, 생활 환경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