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두
첨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1. 언어학: 음운론에서 첨두(尖頭, Apical)는 혀끝을 사용하여 발음하는 자음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ㅅ' 발음은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발음하므로 첨두음에 해당한다. 첨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치음(齒音) 또는 치경음(齒莖音)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국제음성기호(IPA)에서는 혀끝으로 조음되는 자음을 나타내는 별도의 기호는 없으며, 조음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기호를 사용한다.
2. 통계학/데이터 분석: 첨두(尖頭, Peak)는 데이터 분포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점을 의미한다. 히스토그램이나 확률 밀도 함수 그래프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첨두라고 부른다. 데이터의 중심 경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활용되며,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데이터의 분포가 여러 개의 첨두를 가질 경우 다봉분포(Multimodal distribution)라고 한다.
3. 건축학/지형학: 첨두(尖頭, Apex)는 뾰족한 형태의 꼭대기 부분을 지칭한다. 산의 봉우리, 건물의 지붕 꼭대기, 뾰족한 탑의 최상단 등이 첨두에 해당한다. 건축물의 디자인 요소로서 시각적인 강조 효과를 주거나, 지형학적으로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뾰족한 산봉우리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4. 의학: 의학 분야에서는 첨두(尖頭, Apex)가 특정 장기나 조직의 뾰족한 끝부분을 가리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의 아랫부분 뾰족한 부분을 심첨(心尖)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