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펄프

펄프는 목재, 짚, 사탕수수 등의 식물성 섬유질 원료를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해리하여 얻은 섬유의 집합체입니다. 주로 종이, 판지, 섬유판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일부는 화학 제품의 원료로도 활용됩니다.

제조 과정

펄프 제조 과정은 크게 원료 준비, 해리, 표백, 정선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원료 준비: 목재의 경우 껍질을 벗기고 칩 형태로 자르는 과정을 거치며, 짚이나 사탕수수 등은 적절한 크기로 절단합니다.
  • 해리: 원료를 물리적(기계 펄프) 또는 화학적(화학 펄프) 방법을 통해 섬유 상태로 분리합니다. 기계 펄프는 단순한 마쇄 과정을 거치지만, 화학 펄프는 약품을 사용하여 리그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섬유를 분리합니다.
  • 표백: 펄프의 색상을 밝게 하기 위해 표백 과정을 거칩니다. 염소계 또는 비염소계 표백제를 사용합니다.
  • 정선: 펄프 내 이물질을 제거하고 섬유의 균일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종류

펄프는 제조 방법에 따라 크게 기계 펄프, 화학 펄프, 반화학 펄프로 분류됩니다.

  • 기계 펄프: 마쇄 과정을 통해 생산되며, 섬유 손상이 심하고 리그닌이 많이 남아있어 강도가 약하고 쉽게 황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신문 용지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 화학 펄프: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리그닌을 제거하고 섬유를 분리하므로,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습니다. 고급 용지, 포장재 등에 사용됩니다.
  • 반화학 펄프: 기계 펄프와 화학 펄프의 중간 형태로, 어느 정도의 화학적 처리를 병행하여 생산됩니다.

환경적 영향

펄프 제조 과정은 많은 에너지와 물을 소비하며, 폐수 발생, 대기 오염 등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염소계 표백제 사용은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인 제조 기술 개발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통해 생산된 목재를 사용하고, 폐수 처리 기술을 개선하는 등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