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12건

퇴적

퇴적 (堆積, Sedimentation)은 지질학적 과정으로, 풍화, 침식, 운반 작용을 거친 물질들이 중력, 유수의 흐름 감소, 빙하의 융해, 화학적 침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특정 장소에 쌓이는 현상을 말한다. 퇴적 작용은 지구 표면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퇴적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퇴적 과정

퇴적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풍화 및 침식: 암석이 기계적, 화학적 작용에 의해 작은 입자로 부서지고 운반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2. 운반: 풍화 및 침식된 물질은 물, 바람, 빙하 등에 의해 이동한다. 운반 과정에서 입자의 크기, 밀도, 형태에 따라 선별 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3. 퇴적: 운반되던 물질이 운반력의 감소 또는 환경 변화로 인해 특정 장소에 쌓인다. 퇴적 장소는 하천, 호수, 해양, 사막 등 다양하며, 각 환경에 따라 독특한 퇴적 구조가 형성된다.
  4. 속성 작용: 퇴적된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력, 온도, 화학적 변화 등의 속성 작용을 받아 다져지고 굳어져 퇴적암이 된다.

퇴적 환경

퇴적 환경은 퇴적 작용이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조건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육상 환경: 하천, 호수, 빙하, 사막 등
  • 해양 환경: 연안, 대륙붕, 심해 등
  • 전이 환경: 삼각주, 석호, 조간대 등

각 퇴적 환경은 독특한 특성을 가지며, 퇴적되는 물질의 종류와 퇴적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퇴적물의 종류

퇴적물은 기원과 성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쇄설성 퇴적물: 암석의 풍화 및 침식으로 생성된 입자로 구성된 퇴적물 (예: 모래, 자갈, 점토)
  • 화학적 퇴적물: 용액 상태로 운반된 물질이 화학적 침전 작용에 의해 생성된 퇴적물 (예: 석회암, 암염)
  • 생물학적 퇴적물: 생물의 유해 또는 생물 활동에 의해 생성된 퇴적물 (예: 석탄, 산호초)

퇴적 구조

퇴적 구조는 퇴적 과정 중에 형성되는 특징적인 형태를 의미하며, 과거 퇴적 환경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층리: 퇴적물이 층을 이루며 쌓이는 구조
  • 사층리: 경사진 층으로 구성된 구조, 흐름의 방향과 세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
  • 연흔: 물결이나 바람에 의해 퇴적물 표면에 형성된 물결 모양의 구조
  • 건열: 건조한 환경에서 퇴적물이 갈라지는 구조

퇴적암

퇴적물은 속성 작용을 거쳐 굳어져 퇴적암을 형성한다. 퇴적암은 지구 표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화석을 포함하고 있어 과거 환경과 생물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퇴적암으로는 사암, 셰일, 석회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