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고
퇴고(推敲)는 문장이나 글의 내용을 다듬고 수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완성된 초고를 다시 읽고 검토하여 문장의 표현을 개선하고, 내용의 오류를 수정하며,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이다. 퇴고는 글쓰기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로, 글의 완성도를 높이고 독자에게 더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어원
퇴고라는 용어는 당나라 시인 가도(賈島)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가도는 '승거월하문(僧居月下門)'이라는 시구를 짓던 중 '추(推)'(밀다)자를 쓸지 '고(敲)'(두드리다)자를 쓸지 고민하며 망설였다고 한다. 그는 한유(韓愈)를 만나 이 문제에 대해 자문을 구했고, 한유는 '고(敲)'자를 쓰는 것이 더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후 가도는 '고(敲)'자를 사용하여 시를 완성했고, 이 고사에서 '밀 퇴(推)'자와 '두드릴 고(敲)'자를 따서 '퇴고'라는 말이 생겨났다.
퇴고의 필요성
- 명확성 향상: 문장의 표현을 다듬어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한다.
- 오류 수정: 내용의 오류, 문법 오류, 맞춤법 오류 등을 수정한다.
- 가독성 향상: 문장의 흐름을 개선하고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완성도 향상: 글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여 독자에게 더 좋은 인상을 준다.
퇴고 방법
퇴고는 여러 단계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소리 내어 읽기: 글을 소리 내어 읽으면서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러운 부분을 찾아 수정한다.
- 객관적인 시각으로 읽기: 자신이 쓴 글이라는 점을 잊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글을 평가한다.
- 시간 간격을 두고 다시 읽기: 글을 쓴 직후가 아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읽으면 새로운 시각으로 글을 평가할 수 있다.
-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다른 사람에게 글을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할 부분을 찾는다.
- 교정 도구 활용: 맞춤법 검사기, 문법 검사기 등의 교정 도구를 활용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참고 문헌
- 표준국어대사전
- 한국어 어원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