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9건

탕척비린

탕척비린(蕩滌腥羶)은 더러운 것을 깨끗이 씻어 없앤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나 과거의 오점 등을 말끔히 제거하고 새롭게 출발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유래

이 성어는 《맹자(孟子)》의 〈진심장구 하(盡心章句 下)〉에서 유래되었다. 맹자는 "몸을 깨끗이 하고[澡身而浴德], 덕을 씻어 더러움을 없앤다[洗心退藏於密]"라고 말하며, 마음속의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을 씻어내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여기서 '씻을 탕(蕩)', '씻을 척(滌)', '비린내 성(腥)', '양 냄새 전(羶)' 자를 사용하여 탕척비린이라는 성어가 만들어졌다.

의미

  • 묵은 때나 부정적인 것을 깨끗하게 씻어 없앰.
  •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고 새 출발을 다짐함.
  • 사회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깨끗한 사회를 건설함.

용례

  • "정치 개혁을 통해 탕척비린의 각오로 새 출발해야 한다."
  • "과거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탕척비린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국민들에게 다가가겠다."
  • "이번 사건을 계기로 조직 내부의 비리를 탕척비린하고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관련 어구

  • 쇄신(刷新):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함.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날마다 새로워짐.
  • 환골탈태(換骨奪胎): 뼈를 바꾸고 태를 빼낸다는 뜻으로, 용모나 체질이 몰라볼 정도로 좋게 변하거나, 나쁜 버릇이나 결함이 완전히 고쳐져 훌륭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