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속
광속 (光速, speed of light)은 진공에서 빛이 이동하는 속도를 의미하며, 물리학에서 중요한 상수 중 하나입니다. 통상적으로 c라는 기호로 표기하며, 그 값은 정확히 299,792,458 미터 매 초 (m/s) 입니다.
개요
광속은 전자기파의 속도이며, 빛뿐만 아니라 모든 질량이 없는 입자 (예: 글루온)가 진공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속도이기도 합니다.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광속 불변의 원리는 핵심적인 가정이며,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광속은 관찰자의 운동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측정됩니다.
역사
광속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고대부터 있었으나, 17세기 뢰머(Ole Rømer)에 의해 처음으로 유한한 값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후 피조(Armand Fizeau)와 푸코(Léon Foucault) 등의 과학자들에 의해 더욱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졌습니다. 현대에는 레이저와 원자 시계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매우 정확한 광속 값을 얻게 되었으며, 현재는 미터의 정의가 광속을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의미와 중요성
- 상대성 이론: 광속은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가정이며, 시간 지연, 길이 수축 등 다양한 상대론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전자기학: 광속은 전자기파의 속도이며,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 거리 단위: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천문학에서 천체 간의 거리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 기본 상수: 광속은 물리 상수로서, 다양한 물리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미터의 정의: 국제단위계(SI)에서 미터는 광속을 기준으로 정의됩니다.